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드리아 페드로사

덤프버전 : (♥ 0)


1 드미트로비치 · 2 가토니 · 3 페드로사 · 4 세르히오 라모스 (4C) · 5 L. 오캄포스 · 6 구델 · 7 수소 · 8 호르단
9 라파 미르 · 10 I. 라키티치 (VC) · 11 루케바키오 · 12 마리아노 · 13 뉠란 · 14 쿠아시 · 15 Y. 엔네시리 · 16 J. 나바스 (C)
17 라멜라 · 18 소우 · 19 M. 아쿠냐 · 20 페르난두 (3C) · 21 올리베르 T. · 22 바데 · 23 마르캉 · 24 수마레 · 25 야누자이 · 26 후안루 · 31 알베르토 F.
파일:UEFA EURO ESP.png 키케 플로레스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파일:p446990_t179_2023_1_001_000.png
세비야 FC No. 3
아드리아 페드로사
Adria Pedrosa
본명아드리아 지네르 페드로사
Adria Giner Pedrosa
출생1998년 5월 13일 (26세)
스페인 카탈루냐지방 바르셀로나
국적
파일:스페인 국기.svg

신체 조건 176cm / 체중 69kg
포지션레프트백
주로 쓰는 발오른발
유소년 클럽UE 카스텔데펠스 (2004~2009)
CF 가바 (2009~2013)
RCD 에스파뇰 (2013~2017)
소속 클럽RCD 에스파뇰 B (2017~2018)
RCD 에스파뇰 (2018~2023)
세비야 FC (2023~ )
1. 개요
2. 클럽 경력
3. 국가대표 경력
4. 플레이 스타일
5. 여담
6.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스페인의 축구선수이며, 포지션은 수비수이다.

2. 클럽 경력[편집]



2.1. RCD 에스파뇰[편집]


에스파뇰 유스 출신으로, 2017년 4월 16일 RCD 마요르카 B팀과의 경기에서 성인 무대 데뷔전을 치렀다. 2017년 7월, 정식으로 B팀으로 승격된 뒤 활약하다가 2018-19 시즌 중간에 A팀으로 콜업되어 11월 1일 카디스와의 코파 델 레이 경기에서 1군 소속으로 첫 경기를 치렀다.

그 해 12월 16일에는 베티스를 상대로 라 리가 무대에 데뷔했고, 2019년 5월 재계약을 체결한 뒤 계속해서 1군에서 활약해왔다.


2.2. 세비야 FC[편집]


2023년 7월, 세비야로 이적했다. 계약 기간은 2028년까지.

3. 국가대표 경력[편집]


스페인 U-21 대표팀에서 9경기를 뛰었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세비야로 이적한 뒤에는 인버티드 풀백으로 뛰며 지브릴 소우와 함께 세비야 빌드업의 쌍두마차를 이루고 있는데, 에스파뇰에서의 페드라사가 비교적 정해진 동선 안에서 움직이는 선수였다면 세비야에서는 프리롤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필드 전체를 누비며 폭넓게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빌드업 시에는 소우와 함께 325의 2자리에 서서 적극적으로 전진패스 혹은 드리블을 통한 탈압박을 시도하고, 볼이 하프라인을 넘어 팀이 본격적인 지공을 펼치는 상황에서는 특정 포지션에 국한하지 않고 유동적으로 움직이며 공격을 지원한다. 빌드업과 지공 모두에서 모험적인 플레이를 즐겨 하는데, 상당히 높은 성공률을 보여주고 있어서 에베르 바네가를 떠올리게 한다는 평이 많다.

의외로 중거리 슈팅능력이 준수하여 약속된 세트피스나 지공상황에서 주요 슈터로 활약하고 있으며, 인버티드 풀백으로 주로 뛰다보니 잘 드러나진 않지만 측면에서의 크로스 능력도 꽤 괜찮은 편이다.

수비적으로도 '예전보다는' 발전되었는데, 패스커팅과 공중볼 경합에서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1]

하지만 부상이 잦다는 점과 역습당할 때의 포지셔닝이 부실하다는 점, 상대 윙어 혹은 풀백과의 1대1 대인 마크 상황에서 돌파를 허용하는 경우가 잦다는 점은 페드라사의 약점으로 꼽히며, 높은 전진성 때문에 뒷공간이 비는 경우가 많아 왼쪽 센터백의 커버범위가 확장되는 점도 페드라사의 공격성이 상황에 따라서는 팀에게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리하면 세비야에서의 진첸코는 명목적인 포지션인 풀백 자리에 국한하지 않고 필드 곳곳에서 안정적인 볼소유와 전진능력을 발휘하여 빌드업의 중추 역할을 맡고 있는 핵심 자원이지만, 인저리프론아쉬운 수비능력에서는 반드시 개선이 필요한 선수라고 볼 수 있다.

5. 여담[편집]



6. 같이 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세비야 FC 2023-24 시즌 스쿼드
등번호국적포지션한국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신체조건비고
1파일:세르비아 국기.svgGK마르코 드미트로비치Marko Dmitrovic1992.01.24194cm, 94kg
2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DF페데리코 가토니Federico Gattoni1999.02.16183cm, 79kg
3파일:스페인 국기.svgDF아드리아 페드로사Adria Pedrosa1998.05.13176cm, 69kg
4파일:스페인 국기.svgDF세르히오 라모스Sergio Ramos1986.03.30184cm, 82kg4주장
5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FW루카스 오캄포스Lucas Ocampos1994.07.11187cm, 84kg
6파일:세르비아 국기.svgMF네마냐 구데이Nemanja Gudelj1991.11.16187cm, 73kg
7파일:스페인 국기.svgFW수소 페르난데스Suso Fernandez1993.11.19176cm, 70kg
8파일:스페인 국기.svgMF호안 호르단Joan Jordán1994.07.06184cm, 74kg
9파일:스페인 국기.svgFW라파 미르Rafa Mir1997.06.18191cm, 86kg
10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MF이반 라키티치Ivan Rakitić1988.03.10184cm, 78kg부주장
11파일:벨기에 국기.svgFW도디 루케바키오Dodi Lukebakio1997.09.24187cm, 77kg
12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FW마리아노 디아스Mariano Díaz1993.08.01180cm, 76kg
13파일:노르웨이 국기.svgGK외르얀 뉠란Ørjan Nyland1990.09.10192cm, 90kg
14파일:프랑스 국기.svgDF탕기 쿠아시Tanguy Nianzou Kouassi2002.06.07191cm, 85kg
15파일:모로코 국기.svgFW유세프 엔네시리Youssef En-Nesyri1997.06.01188cm, 73kg
16파일:스페인 국기.svgDF헤수스 나바스Jesús Navas1985.11.21170cm, 60kg주장
17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FW에릭 라멜라Érik Lamela1992.03.04184cm, 81kg
18파일:스위스 국기.svgMF지브릴 소우Djibril Sow1997.02.06184cm, 76kg
19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DF마르코스 아쿠냐Marcos Acuña1991.10.28172cm, 69kg
20파일:브라질 국기.svgMF페르난두 헤제스Fernando Reges1987.07.25183cm, 74kg3주장
21파일:스페인 국기.svgMF올리베르 토레스Óliver Torres1994.11.10175cm, 63kg
22파일:프랑스 국기.svgDF로익 바데Loïc Badé2000.04.11191cm, 82kg
23파일:브라질 국기.svgDF마르캉Marcão1996.06.05185cm, 74kg
24파일:프랑스 국기.svgMF부바카리 수마레Boubakary Soumare1999.02.27188cm, 82kg[A]
25파일:벨기에 국기.svgMF아드난 야누자이Adnan Januzaj1995.02.05186cm, 75kg
26파일:스페인 국기.svgDF후안루 산체스Juanlu Sanchez2003.08.15183cm, 68kg
31파일:스페인 국기.svgGK알베르토 플로레스Alberto Flores2003.11.10187cm, -kg
구단 정보
감독: 키케 플로레스 / 홈 구장: 에스타디오 라몬 산체스 피스후안
출처: 공식 홈페이지,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9월 12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4 21:55:04에 나무위키 아드리아 페드로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공중볼 경합에서의 높은 승률의 경우 페드라사의 신체적 조건보다는 뛰어난 낙하지점 포착 능력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